staging area
![[Git] Git 의 3가지 작업영역 {working tree/staging area/repository}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laUlI%2FbtrsXtBM6Tm%2Ftaz2sbbXepsjc4ElnlCj8K%2Fimg.jpg)
[Git] Git 의 3가지 작업영역 {working tree/staging area/repository}
Git 의 3가지 작업 영역 working directory(tree) : 프로젝트 디렉토리 staging area : git add 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영역 , 실제 커밋할 때 staging area 영역만 커밋에 반영 repository : working directory의 변경 이력들이 저장되는 영역 Git의 작업과정과 작업영역 working directory 에서 작업 작업한 파일들을 git add 를 통해 staging area 에 추가 커밋으로 staging area 에 있는 파일들이 스냅샷(snapshot) 처럼 repository에 저장 Staging area가 있는 이유: 파일들을 선별적으로 commit 가능 git add 를 해주지 않은 (변경된)파일이 존재할 때 노란색 부분 : gi..